• 한글을 그냥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문자 체계로 변형해서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 주동식 – 이런 특징을 잘 활용하면 현대 중국에 대한 강력한 위협수단이 될 수 있지 않을까? – 그렇게 되면 중화문명의 정체성을 5천년 넘게 유지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무기였던 한자 체계가 무력화된다 – 중국 내 수십 개 소수민족들이 자기 언어를 한글로 표기하게 될 수도 있다 한글이 원래 중국 한자음에 대한 정확한 표기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

  • 플랫폼 독점과 시장 기능, 공정성의 추구

    ¶ 이윤성 -카카오택시가 콜택시의 시장의 80% 점유하자 무료였던 서비스에 유료화를 상당 부분 도입 -플랫폼 시장에선 한번 독점적인 지위 구축하면 큰 노력 없이 많은 돈 벌어. 네이버가 대표적 -‘검색 왕자’ 네이버가 카카오에 의해 위협받고 ‘PC의 왕자’ MS도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실패 몇년 전까지만해도 택시는 지나가는 택시를 세워서 타는 게 대부분이었지만 카카오 택시가 생기면서 카카오 […]

  • No Image

    서글픈 장영실, 알량한 민족주의가 뭐라고

    ¶글쓴이 : 임건순 -원의 간섭기 때, 고작 붓뚜껑에 목화씨나 숨겨 왔을까? 원의 지배 없었다면 한글 탄생 어려워 -조선은 항상 쇄국주의. 외부로 열린 문 닫으면서 건국, 세종이 아주 못 박고 용접기로 시마이 -공고나 이공계 다문화 학생에게 장영실 장학금 주면?몽골대사관 앞에 장영실 동상도 세우고 원의 간섭기 때, 우리가 고작 붓뚜껑에 목화씨나 숨겨서 왔을까? 원이 […]

  • No Image

    한글 제국주의 말고 문화 네트워크여야

    ¶글쓴이 : 박석희 -1억 한글 제국? 식민지 조선에 남은 진정한 일제의 잔재이자 식민지 교육의 유산일 수밖에 -한국형 <나의 투쟁>, 한국인 덴노헤이카 받들어 광역권 이루는 대동아공영권 21세기 버전 -한글 제국이 아니라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능력 바탕으로 한 개방적인 네트워크 절실 [정진홍의 컬처 엔지니어링] ‘1억 한글 공동체’와 제국 경영 한글이 세계에서 가장 […]

  • No Image

    혁신 수용하는 인프라가 기술보다 중요

    ¶글쓴이 : 이병태 -한글은 <총·균·쇠>도 언급하는 경이적 발명이지만 대중의 삶을 혁신했는가는 또다른 문제 -500년간 명맥만 유지한 한글. 직지활자, 구텐베르그 금속활자의 문명사적 지위 대체 못해 -기술 있으면 뭐하나. 삶의 질 향상 위한 응용의 혁신 이룰 때만 의미 있는 기술로 평가받아 카이스트 교수 ‘한글 폄하’… “혁명적 효과 없었다” 내가 한글에 대해 쓴 글에 […]

  • No Image

    사람이 먼저? 물物이 근본이고 하늘이여

    ¶글쓴이 : 임건순 -16세기 서양의 혁명과 축적 조명해야, 서양의 근대 제대로 읽고 동양이 왜 개쳐발렸는지 이해 -직인과 장인, 예술가의 숙련노동을 문자로 정리. 라틴어 아닌 이탈리아어, 독일어 속어 등으로 -실업계고 학생 현장실습 나가면 나이트에서 서빙하지 공장취업 절대 안한다고 학을 떼는 나라 서양이라고 육체노동이 처음부터 존중 받고 그들의 지식이 지혜로 인정받으며 숙련노동자들의 노하우에 시민권을 […]

  • No Image

    빨갱이를 빨갱이라 부르면 빨갱이가 글쎄…

    ¶글쓴이 : 길도형 -빨갱이 본딧말은 ‘발강이’로 붉은 빛깔 띤 물체나 생물 가리켜. 잉어 치어 ‘발강이’라 불러 -구한말에 ‘빨강이’로 음운변화, 1920년대 붉은깃발 공산주의자들 자연스레 ‘빨갱이’ 호칭 -6.25 비극 거치면서 비하 의미 담아. 이제 빨갱이란 말만 써도 잡아넣겠다고 으름짱이네 오늘날 ‘레즈reds’, ‘적색분자’, ‘빨갱이’ 같은 말은 공산주의자를 지칭하는 하나의 분명한 의미 단위이다. 공통된 것은 공산주의자들 […]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