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의 위기 – 공동체의 몰락

    ¶ 김소혁 –대한민국의 현주소는 집단의 위기, 공동체의 몰락이라 지칭하여도 전혀 어색하지 않습니다. –성 위기 유발 세력은 자녀 돌봄을 대신 하겠다는 주장으로 위대한 어머니의 역사를 지우려 합니다. –개인의 발전은 국가가 주도할 수 있겠지만, 가정의 발전은 조화와 화합만이 이뤄낼 수 있습니다. 국가 성립의 3가지 요소는 영토, 주권, 국민입니다. 영토를 점하기 위해서는 이를 점 […]

  • 초저출산 위기 – 위대한 부양

    ¶이명준 –세계 최대 자살 사건을 여태껏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 것은 사실상 ‘적극적 방치’하는 것이다. –범죄를 없애자는 말로 유죄추정을 하자는 것은 ‘부양’에 대한 자긍심을 찢어버리는 것과 같다. –시니어 산업은 ‘양육은퇴자’, ‘부양은퇴자’들의 존재감과 자긍심을 회복시킬 것이다. 부양자의 정서단절 ① 이른바 ‘젖은 낙엽 증후군’이다. 퇴직 시기에 부양 능력이 하락하면 겪는 현상이다. 낙엽이 지면 […]

  • 초저출산 위기 – 위대한 돌봄

    ¶ 이명준 –요즘 같은 초저출산 위기인 때에는 공적 커리어로 인정하지 않을 근거가 없다. –국가공동체는 양육가치를 공적 커리어로 인정해야 한다. –부양과 양육에 대한 자부심을 훼손시키면서 출산만 요구해왔다. 현 성파시즘은 여성의 돌봄에서 여성을 지우고, 국가가 돌보겠다고 한다. 그것이 여성인권 상승이고 여성해방이라 한다. 하지만 그것은 위대한 어머니의 역사를 훼손하고 지우는 성파시즘이다. 또 국가가 가정을 직접 […]

  • No Image

    [한국경제 진단과 처방] 저출산#1 문제의 제기

    ¶글쓴이 : 전용덕 대구대 명예교수 -합계출산율 1명 이하, 한국이 세계최초. 2001년부터 합계출산율 1.3명 미만 초저출산 사회 -2006~2018년 합계출산율, 2012년에 1.30명까지 상승했지만 2018년 0.98명으로 떨어져 –한국 비혼자 중 80~90%가 비자발적 비혼자. 여건이 맞지 않아 결혼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 I. 문제의 제기 2018년 현재 합계출산율은 0.98명이다. 2005년 합계출산율은 1.08명까지 떨어졌지만 그 이후 2012년에 […]

  • No Image

    문재인정부 1년 경제정책 평가 및 제언(1)

    ¶글쓴이 : 김대호 -주력산업 ‘비상벨’ 울려. 중국 등 추격으로 조립가공 분야는 추월당하고 선진국과 격차는 못좁혀 -개념설계 능력이나 부품, 소재, 장비 기술은 융합, 오랜 축적 필요. 제도·리더십·문화가 못받쳐줘 -문재인정부 경제·고용·노동 정책으로 창업과 민간기업 취업 기피. 기업들 국내 투자와 고용 외면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장이 발표한 [문재인정부 1년 경제정책 평가 및 제언]을 7회에 […]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