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일본이 강력하게 맺어져야 할 이유

    ¶ 주동식 – 닮은 점, 닮지 않은 점 등이 모두 두 나라의 긴밀한 결합을 요구한다고 봅니다. – 저는 일정한 협의만 이뤄지만 전세계에서 두 나라 국민들처럼 서로 좋아하고 잘 지낼 수 있는 국민들도 없을 거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 적어도 중국인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두 나라 사람들은 공감도와 친연도가 높습니다. 처음에 일본에 […]

  • 코로나 대응, 한국과 일본의 차이

    ¶ 최대현 -한국 일일 확진자 수 폭증 속에 일본은 1억5천만 인구 중 1백명으로 극명히 대비 -일본 확진자 적은 이유는 백신 교차 접종 않고, 1,2차 접종간격 제대로 지킨 때문 -정부 시키는대로 다한 한국은 정부의 무능 거짓말에 속아 확진자 폭증 위기 겪어 위드코로나를 시작한 나라들은 요즘 폭증하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한국은 어제 […]

  • No Image

    이국종-아주대병원 사태가 보여주는 국민성

    ¶글쓴이 : John Lee -“왜 내 돈으로 당신 딸의 결혼비용에 쓰느냐?”고 따지는, 적선에 익숙해진 어느 거지 -이국종의 무용담에 감동해 눈물 흘리면서, 그렇게 안하는 사람 비난하는 기이한 광경 -아가리만 산 당신들, 아주대병원에 납품하는 핸드타올과 정수기라도 지원한 적 있나 정기적으로 거지에게 적선을 하는 신사가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은 신사가 적선을 하지 않자 거지가 그 이유를 […]

  • No Image

    30년째 민주화에 발목 잡힌 민주주의

    ¶글쓴이 : 박동원 -소련은 왜 해체되었나? 이기적인 인간의 욕망이 인위적으로 제어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러 -87년 이후 민주주의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민주화에 발목 잡혀 세상을 ‘민주 대 반민주’로 봐 -박멸적 폭력 아닌 대화와 타협으로 갈등 해소하는 힘이 사회의 인문력이자 문화와 습속의 힘 (2017년 11월 22일 추억의 글이 떴다. 요즘 586(386) 비판이 대세다. 그 […]

  • No Image

    쟁점_국민연금 1. 당면한 현실 #1 연혁

    ¶정리 및 집필 : 서정민 -2040 은퇴할 때쯤이면 연금 정상수급 불가능. 수많은 개선책도 ‘국민지지’ 얻는 데 실패 -저소득층 생계보장 vs 개인소득 비례하여 지급하는 연금으로 분리하는 방안 복지부 반대 -이원화 이뤄졌다면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기능 탈피. 유시민 복지부, 책임 면할 수 없어 국민연금의 운영과 관련하여 그동안 많은 논란들이 있어왔으며, 그중에서도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은 사회전반에 걸쳐 […]

  • No Image

    ‘질식사’ 한국경제, 이 정권에선 해결 불가능

    ¶글쓴이 : 김대호 –경제개혁 핵심은 약탈(지대추구) 마인드 근절과 규제개혁. 다들 알지만 해법은 찾기 어려워 –시장(사적 자치) 불신하고 국가(권력)의 보호 좋아하는 국민성, 무수히 많은 규제 지지 옹호 –세금·독점업역으로 지불능력 마련하는 공무원·공공부문 정규직원이 일자리의 ‘표준’이라니 한국에서 경제개혁 방략만한 난제가 또 있을까 싶다. 경제개혁의 핵심은 약탈적(지대추구) 마인드 근절과 규제개혁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문제는 도대체 […]

  • No Image

    “한국에는 일본의 분노 전달되지 않는다”

    친한파 일본 여배우 구로다 후쿠미 인터뷰 ¶번역 : 길도형 -작년 중반 이후 한일 갈등의 골 깊어져 감정적 대응, 한국 측에 어떤 의도 개입하는 것 아닌가 -일본에서 사과와 용서 구하는 단어 ‘유감’이 한국에서는 너무 가볍게 쓰는 개념. 의역도 어려워 –일본 정부뿐 아니라 민간인들이 화가 나 있는 사실을 문재인 정권이나 한국인들은 눈치 못 채 […]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