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세상에도 기생충과 숙주가 있다

<<광고>>



¶ 오광조

 

-뇌에 감염되어 숙주에 영향을 주는 기생충으로는 톡소플라스마가 유명

-사람은 정원 가꾸기, 덜 익힌 고기 섭취, 고양이 배설물 등을 통해 감염

-톡소플라스마 때문에 고양이와 이별 않아도 돼. 집 고양이는 감염 안돼

 

 

<연가시>라는 영화가 있다. 사람의 뇌를 조종하여 익사시키는 변종 연가시가 대한민국을 초토화시킨다는 내용이다. 영화는 과장이지만 자연계에 숙주의 뇌로 침범해서 좀비처럼 조종하는 기생체는 실제로 많다.

 

to”>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 개미를 조종하는 기생충이 나온다. 소나 양 등의 초식동물의 담도에 최종 기생하는 창형 흡충인데 곤충을 중간 숙주로 삼는 유충은 숙주를 좀비로 만든다. 소의 배설물에 섞여 나온 창형 흡충의 알은 달팽이 등에 먹혀서 부화한 후 유충 상태로 땅 위로 나온다. 이 유충을 개미가 먹으면 유충은 중간 숙주인 개미가 이상 행동을 일으키게 만든다. 개미는 밤새 풀의 맨 위에 가만히 초식동물에게 풀과 함께 먹히기를 기다린다. 그렇게 풀과 함께 기생충은 최종 숙주로 들어가서 성장한다.
to”>
to”>자기 몸보다 몇 배나 큰 바퀴벌레를 좀비로 만들어 새끼들의 부화 장소로 만드는 말벌도 있다.
to”>
to”>메디나충은 성경에 불뱀으로 나올 정도로 수천 년 동안 아프리카, 아시아의 수많은 사람을 감염시킨 가늘고 긴 기생충이다. 기생충의 유충을 지닌 물벼룩에 오염된 물을 마신 사람의 몸속에서 메디나충은 성장하여 짝짓기를 한다. 산란기가 되면 메디나충은 밖으로 나가려고 사람의 피부에 수포를 만든다. 발의 수포는 뜨겁고 통증이 극심해 물에 담가야 통증이 가라앉는다. 이때 유충이 물로 들어가서 번식을 지속한다.
to”>
to”>

집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면 감염 확률은 낮아지므로 톡소플라스마를 걱정해 집 고양이와 이별할 필요는 없다.

to”>
to”>뇌에 감염되어 숙주에 영향을 주는 기생충으로는 톡소플라스마가 유명하다.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고 과잉 행동을 해 고양이에 쉽게 잡아 먹힌다.
to”>
to”>사람은 정원 가꾸기나 덜 익힌 고기 섭취, 고양이의 배설물 등을 통해 감염되는데 지구상에 20억 명 정도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람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심하면 유산을 유발하고 면역 기능이 떨어진 ADIS 환자 등은 목숨이 위태롭다.
to”>
to”>톡소플라스마는 사람의 뇌에 자리를 잡고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GABA 활성화 신호를 바꿈으로써 뇌전증 발병률을 증가시키고 감염된 사람은 교통 사고와 자살, 과도한 음주 사례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조현병이나 파킨슨병, 양극성 장애 등과 같은 여러 정신병의 위험 요소라는 주장도 나온다.
to”>
to”>톡소플라스마 때문에 귀여운 고양이와 이별해야 할까? 답은 No다. 집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면 감염 확률은 낮아진다. 기생충의 집합자낭이 고양이의 배설물에 섞여 나오면 공기에 3~5일 노출되어야 감염성이 생기니까 이보다 자주 탁자나 변기를 닦아주고 손을 씻는다면 비교적 안전하다.
to”>
to”>고양이에서 기생충의 집합자는 한 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고양이는 한 번 감염되고나면 더 이상 감염되지 않는다. 고양이가 톡소플라스마를 감염시킬 수 있는 시기는 일생에서 딱 한 번 아주 짧은 기간이다. 모든 고양이가 감염되지는 않고 또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는 기생충에 감염되지 않는다.

 

<<광고>>



No comments
LIST

    댓글은 닫혔습니다.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