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글쓴이 : Ivy Lee
–2호선 지하철에서 편지봉투 팔던 행상꾼. 100원 편지봉투를 20원에 판다고 목청 드높여
-아무도 사지 않자 “바보인가? 이렇게 싼데도 가만있는 것을 보면 말이야.” 하고 중얼거려
-주변의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노답 봉투 행상꾼 같은 답 안 나오는 행동들을 하는 걸 보면
몇 년 전 서울 시내 2호선 지하철에서 편지봉투를 파시던 행상꾼 아저씨가 생각이 난다. 아마 당시 백색 편지봉투의 시세가 대략 100원 쯤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행상꾼 아저씨는 편지 봉투를 한 매당 20원에 판다고 목청을 높이며 사람들에게 호소를 하셨다.

말의 홍수 속에 정신적, 육체적, 재산적 긍정의 메세지를 보고 싶어하는 갈증을 느끼는 요즘이다.
행상꾼 아저씨가 몇 분 간 간곡하게 읍소를 해도 사람들 반응이 없자 주섬주섬 편지봉투를 챙기시면서 혼잣말로
“사람들이 바보인가? 이렇게 봉투값이 싼데도 가만있는 것을 보면 말이야…”
라고 하는 것이었다. 바로 내 앞에 편지봉투를 두시고 혼잣말을 하였기에 그분의 그 말씀을 나는 똑똑히 들었고 혼자서 얼마나 비웃었는지 몰랐다.
사람들이 필요하지도 원하지도 않는 물건을 들고 와서 아무리 싸게 판다고 한들 그 물건이 팔릴 것이라 생각하신 그분의 자신감과 무지는 어디에서 기인하였던 것일까? 아무리 이해를 해보려 하여도 그분의 노답 마케팅은 마케팅을 모르는 어린 아이도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재미나게도 주변의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노답 봉투 행상꾼 같은 답 안 나오는 행동들을 하는 걸 보면 참으로 답답하기 이루 말할 데가 없다.
예를 들자면, 남들이 들어서 아무 교훈을 얻을 수 없는 자기의 우울한 과거를 지속적으로 들먹임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유도한다거나, 무슨 경제적 전망을 맞췄다고 “거봐라~ 내 말이 맞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인정을 원한다거나(그렇다고 본인이 떼돈을 번 것도 아니면서)…하는 류의 이야기를 들으면 노답 편지봉투 행상꾼이 생각이 나는 것이다.
편지봉투가 아니라 사람들에게 편익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판매를 하였으면 어땠을지? 우울한 이야기를 하여 지속적인 공감과 위로를 강요하는 게 아닌, 극복하고 치유하여 다른 이들에게 교훈과 용기를 주었으면 어땠을지? 나 잘났다가 아닌 타인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인 도움을 주었으면 어땠을지?
말의 홍수 속에 정신적, 육체적, 재산적 긍정의 메세지를 보고 싶어하는 갈증을 느끼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